<aside> 💡 템플릿을 사용하려면 노션 계정이 필요해. 먼저 노션 홈페이지 에서 가입을 하고 이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복제] 버튼을 누르면 개인 워크스페이스로 복제가 될 거야.
</aside>
기간
프로젝트 진행 기간 + (3개월) 처럼 한눈에 기간이 보이게 정리할 수도 있어.
프로젝트 명
‘모델명 + 진행업무’ 형식으로 작성하면 그럴싸한 프로젝트 명 뚝딱!
모델명은 브랜드나 상품·서비스명을 적을 수도 있고 핵심 단어로 구성할 수도 있어. (ex. 당근마켓 => 중고거래 소프트웨어 / 배민 => 배달 애플리케이션 )
팀 포지션
소속팀 / 직책, 직위 또는 직무
(ex. 담당 업무나 책임이 잘 드러나도록 선택적으로 기입해도 돼. 예를 들어 '사원'이라고 적는 것보다는 '리크루터'라고 적는 게 좋고 '주임이나 대리'보다는 'PM 또는 리더'라고 적는 게 담당이 더 잘 드러나겠지? 반대로 직무가 자잘하고 다양하다면 직책을 적는 게 효과적일 때도 있어. '마케팅팀 팀장'처럼 말이야. )
배경 및 목적
프로젝트 목적이 '고객 유치'인지 '브랜드 인지도 향상'인지 또는 '매출 달성'인지 정확히 적으면 돼.
목적은 성과와도 연결되기 마련이야. 프로젝트의 목적이 '매출 달성'이라면 성과에서는 '매출 00% 증가'가 나와줘야겠지.
담당업무
여러 업무를 담당했더라도 핵심이 되는 업무만 2~5개 정도 작성하자.
(ex. 담당 업무를 '진상 고객 하소연 들어주기'라고 적을 수는 없잖아? '인바운드 CS 상담 및 리뷰 관리'처럼 멋쟁이 직장인처럼 적는 팁을 줄게. '잡코리아'나 '원티드' 같은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본인 직무의 채용공고를 찾아보길 바라. 주요 업무란에 아주 잘 정리되어 있을 거야. )
성과
성과는 정량적 성과와 정성적 성과로 구분해 작성할 수 있어. 어렵겠지만 되도록 수치화된 정량적 성과를 적는 연습을 해보자. 경력기술서에서 성과는 담당 업무만큼 중요하거든!
(tip. '직무 + 정량적 성과' (ex. 디자인 정량적 성과) 라고 검색해보면 직군에 맞는 성과 측정 방법들을 공유한 글이 나올거야. 성과를 수치화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던 직무도 다 방법이 있더라.)
그 외
직무에 맞게 (사용 툴, 태그, 채널, 활용 기술, 이미지 or 링크, 느낀점 등으로) 주제를 커스텀 해서 사용해 보자.
섬앤섬 팀의 직무에 맞게 작성한 예시도 함께 공개할게. 아래 섬앤섬 경력기술서 샘플을 클릭해 봐👆